한국독어독문학회 회원님께
안녕하십니까.
한 해를 마감하는 겨울학술대회 안내드립니다.
- 주제: 우리 시대의 독어독문학, 그 의의와 비전
- 일시: 2014년 12월 6일 (토) 오후 1시
- 장소: 중앙대학교 302관 (대학원 건물) 5층 회의실
- (오시는 길 안내는 첨부파일을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.)
*구체적 프로그램과 정기총회에 대해서는 조만간 다시 공지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.
많이 참석해 주셔서 자리를 빛내 주시기 바랍니다.
한국독어독문학회장 김 관 우 올림
발표자 (가나다 순) | 소속 | 발표논문 | 분과 | 토론자 |
권영을 | 고려대 | 독일어 불변화사첨가동사의 유형, 통사적 기능 및 의미해석 | 어학 | 이주은 (숙명여대) |
김금동 | 한국외대 | 독일 영화정책 및 영화법이 일 제강점기 조선 영화정책 및 영화법에 미친 영향 | 문화 | 김윤희 (전북대) |
김남희 | 한국외대 | Germanistik heute? gemeinsames Textlesen und lautes Denken? | 교육 | 박세진 (영남대) |
김상원 | 인하대 | 실용인문학으로서의 문화경영학 | 교육 | 김윤상 (동덕여대) |
김종대 | 외국어대 | 하이데거의 『존재와 시간』에 나타난 시간에 대하여 | 문화 | 김길웅 (성신여대) |
신성엽 | 연세대 | 트라클 시어의 순환성과 복합성에 관하여 | 문학 | 류 신 (중앙대) |
신종락 | 성균관대 | 구드룬 파우제방의 『구름』에 나타난 재난서사 | 문학 | 최문선 (충남대) |
이경진 | 서울대 | 번역가의 나라 - 독일 낭만주의 번역담론에서의 민족정체성 문제 | 문학 | 윤태원 (경성대) |
이미영 | 한국교육과정평가원 | 수능 독일어 1의 문항 개선 방안 고찰 -2010~2014학년도 검사타당도 검토를 중심으로 | 교육 | 이원경 (인천대) |
장제형 | 서강대 | 발터 벤야민 수용의 한 쟁점. 「폭력비판론」을 중심으로 | 문화 | 임석원 (이화여대) |
전승환 | 한남대 | 모바일 환경을 위한 독한사전 구축 | 어학 | 이미영 (한국외대) |
정경량 | 목원대학교 | 인문학과 문화예술이 융합된 독어독문학 | 교육 | 안은영 (서울여대) |